티스토리 뷰

1. 렉사일(Lexile) 지수란?

정의: 렉사일 지수는 텍스트의 난이도를 측정하는 국제적인 지표입니다.

산출 방법: 문장의 길이, 어휘 난이도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텍스트의 난이도를 숫자로 나타냅니다. 예: 300L, 600L.

활용법: 학생의 독서 능력과 책의 난이도를 비교하여 적절한 독서 자료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AR(Accelerated Reader) 지수란?

정의: AR 지수는 학생의 독서 이해도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Accelerated Reader에서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평가 방식: 학생이 책을 읽은 후, 해당 책과 관련된 퀴즈를 풀고 이해도를 평가받아 AR 지수를 부여받습니다.

활용법: 학생의 독서 능력과 이해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난이도의 책을 선택하고, 독서 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한국 초등학생이 영어 원서를 읽을 때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

1) 적절한 난이도와 흥미를 고려한 책 선택

  • 지표만을 기준으로 하기보다, 학생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주제의 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관심 있는 주제의 책은 동기부여를 높이고 지속적인 독서 습관 형성에 도움을 줍니다.

2) 기본 어휘와 문법 준비

  • 원서를 읽기 전, 기본적인 어휘와 문법을 익혀두면 이해도가 향상됩니다.
  •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사전을 활용하거나 별도의 어휘 학습 노트를 만들어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3) 효과적인 읽기 전략 활용

  • 사전 활용: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즉시 찾아보는 습관을 들이면 어휘력이 향상됩니다.
  • 미리보기(Predicting): 책의 제목, 표지, 목차, 삽화를 활용하여 내용을 예측해보면 전체적인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 요약 및 질문: 읽은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고 중요한 부분에 대한 질문을 만들어 보면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문화적 배경 지식 습득

영어 원서에는 영어권의 문화, 관습, 역사 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면 독서의 폭이 넓어집니다.

필요한 경우 간단한 문화적 해설이나 부가 자료를 참고하여 배경 지식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5) 지원 체계 활용

학교 영어 교사나 부모님, 친구들과 함께 책을 읽고 토론하면 더욱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독서 모임이나 독후 활동을 활용하면 다양한 의견을 들으며 사고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6) 단계적으로 난이도 조절

처음에는 쉬운 레벨의 원서(그레이디드 리더)로 시작하여 점차 난이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작은 성공 경험을 쌓아가며 자신감을 키우는 것이 꾸준한 독서 습관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초등학생들이 영어 원서를 읽을 때 렉사일(Lexile)과 AR(Accelerated Reader) 지수를 활용하면 자신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책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단순히 지표만을 고려하기보다는 흥미, 어휘력, 읽기 전략, 문화적 배경 이해 등 다양한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 독서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계적으로 접근하고 다양한 지원 체계를 활용하면, 영어 원서 읽기가 더욱 즐겁고 효과적인 학습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